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반응형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HTTP
- 지도학습
- BOJ
- 코테
- 코딩테스트
- 멱등
- rest api
- 스택과 힙
- 해시
- bineary search
- 비지도학습
- 딕셔너리
- 강화학습
- 너비우선탐색
- 머신러닝
- 자바
- 깊이우선탐색
- 프로그래머스
- 파이썬 오류
- 오버라이딩
- 딥러닝
- 이진탐색
- post
- 캐싱
- 코딩
- 알고리즘
- 백준
- 파이썬 알고리즘
- 파이썬
- Merge sort
Archives
- Today
- Total
chae._.chae
AWS 고객사례 분석 : SM 엔터테인먼트 본문
728x90
반응형
https://aws.amazon.com/ko/solutions/case-studies/SM-entertainment/
✏기업 정보
연예기획, 음반, 행사 관리 서비스 사업을 운영하는 국내 음반시장 점유율 1위의 최대 음반 기업
✏당면과제
국내 및 해외에서 관객에게 홍보하기 위해 디지털 채널에 크게 의존
- 온프레미스 서버, 네트워크, 스토리지로 구성된 인프라에서 운영하였으나, 트래픽 폭증으로 기존의 물리적 인프라로는 한계가 존재
- 인프라 리소스를 예측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. → 새로운 앨범이 출시될 때, 웹사이트 및 아티스트 페이지의 트래픽은 평소의 1천 배에서 1만 배까지 급증
- 필요한 서버를 조달 받기 위해 걸리는 기간이 1주일로, 너무 오래걸린다는 문제점이 존재
✏AWS를 선택한 이유
사용 서비스 : S3, EC2, RDS, CloudFront, Support
- Amazon Simple Storage Service (S3) : 효율적 비용으로 안전하게 저장 및 관리가 가능하다
- S3 자체는 수천대 이상의 성능이 좋은 웹 서버로 구성되어 있어, ec2와 ebs로 구축할때 처럼 auto scaling이나 load balancing을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!(가격 또한 훨씬 저렴)
- 동적, 정적 웹페이지가 섞여있을 때, 동적 페이지에서는 EC2에서 서비스하고 정적 페이지는 S3를 활용하면 성능이 더 높아지고 비용 또한 절감된다.
- S3는 버킷(Bucket)이라는 컨테이너를 놓을 리전을 선택하고, 컨테이너 내부에 객체(Object)형태로 데이터를 저장한다.
- Amazon Elastic Compute Cloud (Amazon EC2) : 인스턴스의 수를 원하는 만큼 늘려 급증하는 트래픽에 대응, 수요가 줄어들면 늘어난 인스턴스를 줄여 비용을 절감
- Amazon Relational Database Service (Amazon RDS) : 아티스트, 노래 및 앨범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MySQL 데이터베이스도 확장
- RDS를 사용하면, 다운타임(Downtime : 시스템을 이용할 수 없는 시간)없이 테이터베이스의 컴퓨팅, 스토리지를 독립적으로 확장이 가능하다.
- Amazon CloudFront : 지리적으로 가까운 위치에 인기 있는 콘텐츠의 복사본을 미리 캐시해 두고 필요할 때 신속하게 전송
- AWS에서 제공하는 CDN서비스로, 캐싱을 통해 사용자에게 좀 더 빠른 전송 속도를 제공해준다. (CDN : Contents Delivery Network(콘텐츠 전송 네트워크)로, 데이터 사용량이 많은 애플리케이션의 웹페이지 로드 속도를 높이는 상호 연결된 서버 네트워크이다.)
- Edge Server(=Edge Location. AWS에서 실질적으로 제공하는 전세계에 퍼져있는 서버)를 두고, Client에게 가장 가까운 Edge Server를 찾아 Latency를 최소화시켜 빠른 데이터를 제공한다.
- AWS Management Console : 웹 애플리케이션 성능을 관리하고 최적화시켜준다.
- AWS서비스를 접근하고 관리를 지원하는 웹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.
- AWS Support : 해당 서비스에 가입해 신속하고 상세한 답변을 통해 개발시간을 단축
- 경험이 풍부한 기술 지원 엔지니어가 일대일로 신속한 응답 지원을 제공하는 서비스. 이를 통해 AWS의 서비스를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. → 환경 관리 자동화가 가능해진다.
자사 웹사이트 및 아티스트 페이지를 AWS로 이전 → 현재 IT 환경의 70%를 AWS 인프라에서 운영
SM엔터테인먼트 인프라 아키텍쳐
✏결론
- SM엔터테인먼트 웹사이트에서 “에브리싱”을 지원하는 IT인프라는 99.999%의 가용성을 유지
- 평소 대비 만 배 이상의 트래픽 급증에도 성능이나 가용성의 저하없이 대응 가능한 확장성을 갖춤
- 웹사이트 운영에 들어가는 비용을 최대 30% 절감 (AWS가 아닌 온프레미스 데이터센터에서 계속 운영했다면 최소 50%이상의 비용이 더 지출되었을 것이라 예측)
- 인프라 유지에 필요한 인력을 최소화, 개발자가 직접 AWS에 접속하여 빠르게 필요에 따라 리소스 변경이 가능해짐(개발 과정 고속화)
728x90